킹 오브 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킹 오브 재즈》는 1930년에 개봉한 미국의 뮤지컬 영화로, 폴 화이트먼의 오케스트라가 참여하여 사전 녹음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영화는 뚜렷한 서사 없이 음악 공연과 코미디 스케치가 번갈아 나타나는 레뷰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과 춤, 그리고 테크니컬러를 활용한 화려한 시각 효과를 선보였다. 주연 배우로는 폴 화이트먼과 존 볼즈가 출연했으며, 빙 크로스비는 조연으로 출연하여 영화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이 영화는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해외에서는 좋은 흥행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6년에는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즈 영화 - 스윙걸즈
야구 응원 도시락 배달 사건으로 결성된 여고생 밴드 스윙걸즈는 음악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스윙 재즈에 도전하며 성장하고 음악 축제 무대에 서는 과정을 유쾌하게 그린 2004년 일본 영화이다. - 재즈 영화 - 라라랜드
《라라랜드》는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과 배우 지망생 미아가 만나 꿈과 사랑을 나누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헤어지는 과정을 그린 2016년 미국 로맨틱 뮤지컬 영화로, 5년 후 재회하는 장면은 평행세계를 암시하는 여운을 남긴다. - 1930년 영화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1930년 영화)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루이스 마일스톤 감독의 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병사들이 전쟁의 잔혹한 현실과 허무함을 겪으며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했지만 나치 독일의 반대로 상영 금지되기도 했다. - 1930년 영화 - 시인의 피
《시인의 피》는 예술가의 무의식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담아 폭력, 죽음, 운명 등을 다루는 초현실주의 영화이다. -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히트맨 (2007년 영화)
스퀘어 에닉스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 《히트맨》을 원작으로 한 액션 스릴러 영화 《히트맨》은 티모시 올리펀트가 주연한 47번 요원이 러시아 대통령 암살 사건에 휘말리면서 과거와 조직의 음모를 파헤치는 이야기이다. -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은 2011년 개봉한 SF 영화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연구 중 유전자 조작으로 지능이 향상된 침팬지 시저가 인간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ALZ-113 바이러스가 인류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킹 오브 재즈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존 머레이 앤더슨 |
제작자 | 칼 리믈 주니어 |
각본 | 찰스 맥아더 |
출연 | 폴 화이트먼 |
음악 | James Dietrich |
촬영 | 제롬 애쉬 |
편집 | Robert Carlisle |
배급사 | 유니버설 픽처스 |
개봉일 | 1930년 4월 19일 |
상영 시간 | 105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영화 제작비 | 2,000,000 달러 (추정) |
기술 정보 | |
색채 | 2색 테크니컬러 (월터 란츠 부분) |
추가 정보 | |
종류 | 뮤지컬 영화, 애니메이션 (일부) |
2. 제작 배경
1920년대 미국 대중음악계를 이끌던 폴 화이트먼과 그의 오케스트라를 주인공으로 한 뮤지컬 영화 제작은 당시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야심찬 프로젝트였다.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술이었던 2색 테크니컬러를 사용하여 화려한 영상미를 구현하고자 했다.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를 영화의 핵심 레퍼토리로 선정하여, 재즈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했다.
2. 1. 초기 기획
폴 화이트먼은 자신의 오케스트라가 참여하는 음악 시퀀스를 최고의 음질로 담아내기 위해 사전 녹음 방식을 제안했다. 이는 영화 스튜디오 사운드 스테이지의 열악한 녹음 환경과 잡음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처음에 이 방식에 반대했으나, 화이트먼의 주장을 수용하여 사전 녹음 후 촬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사운드를 먼저 녹음 한 후, 장면을 촬영할 때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출연자들이 녹음에 맞춰 연기하도록 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사운드트랙과 동기화되었다. 이 방식은 감독이 촬영 중 지시를 외칠 필요가 없고, 카메라가 방음 장치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무성 영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면을 촬영할 수 있게 하였다.[8]

3. 주요 출연진
폴 화이트만, 존 볼즈, 로라 라 플랜트, 지넷 로프, 글렌 트라이언, 슬림 서머빌, 찰스 어윈, 월터 브레넌, 빙 크로스비, 머나 케네디, 찰스 머레이, 조지 시드니, 리처드 크롬웰, 욜라 다브릴, 마르시아 메이 존스, 조엔 마쉬, 세실리아 파커, 르니 토레스, 조 베누티 등이 출연하였다.
3. 1. 주연
3. 2. 조연
- 로라 라 플랜트
- 지넷 로프
- 글렌 트라이언
- 슬림 서머빌
- 찰스 어윈
- 월터 브레넌
- 빙 크로스비
- 머나 케네디
- 찰스 머레이
- 조지 시드니
- 리처드 크롬웰
- 욜라 다브릴
- 마르시아 메이 존스
- 조엔 마쉬
- 세실리아 파커
- 르니 토레스
- 조 베누티

리듬 보이즈(빙 크로스비, 해리 배리스, 알 링커)는 영화에서 ''미시시피 머드'', ''그래서 파랑새와 검은새가 함께 모였네'', ''나는 어부야'', ''공원의 벤치'', 해피 피트''를 불렀다.[1] 이들은 휘트먼의 밴드 일원으로, 배리스가 피아노를 치는 가운데 자체적으로 녹음하기도 했다.[1] 빙 크로스비는 촬영 기간 동안 술에 취해 할리우드 대로에서 차를 몰다 여성 승객을 거의 죽일 뻔했고, 골프 복장을 하고 나타나 판사에게 빈정거린 후 60일 동안 감옥에 갇혔다.[1] 휘트먼은 "새벽의 노래"에서 그를 존 볼스로 교체했다.[1]
4. 음악
''킹 오브 재즈''는 레뷰 형식으로, 서사적인 연속성 없이 다양한 음악 공연이 짧은 코미디 스케치와 함께 번갈아 나타난다.
음악 공연은 다양한 스타일로 구성되어 모든 연령대의 관객에게 어필하고자 했다. 젊은이들을 위한 "재즈"적인 ''해피 피트''(Happy Feet), 중년층을 위한 존 볼스의 ''잇 해픈드 인 몬터레이''(It Happened in Monterey)와 목장 일꾼들의 ''송 오브 더 돈''(Song of the Dawn), 노년층을 위한 빅토리아 시대풍의 ''브라이덜 베일''(Bridal Veil) 등이 대표적이다.
영화 초반부에는 밴드의 명인 연주자들이 소개되고, 리듬 보이즈가 가정적인 분위기에서 공연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또한, ''선정적인'' 넘버부터 유머러스하거나 어리석은 넘버까지 다양한 코믹 넘버들이 등장한다. 여성 합창단은 앉아서 안무를 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출연한다.
그랜드 피날레는 ''멜팅 팟 오브 뮤직''(Melting Pot of Music)으로, 여러 이민자 그룹이 전통 의상을 입고 각자의 노래를 부른 후, 모두 미국의 멜팅 포트로 들어가 재즈를 즐기는 미국인으로 변신하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 영화는 버스비 버클리 스타일의 오버헤드 뷰를 초기에 선보였지만, 그의 영화나 1930년대 후반 뮤지컬과는 달리 무대 공연에 가까운 연출을 보여준다. 카메라는 고정되어 있고, 시점 변화를 통해 시각적 흥미를 유발한다.
''킹 오브 재즈''는 2색 테크니컬러로 촬영된 19번째 무성 영화였다.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Rhapsody in Blue)를 화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당시 기술로는 파란색 표현이 어려웠다. 이에 미술 감독 허먼 로세와 제작 감독 존 머레이 앤더슨은 회색과 은색 배경, 필터 등을 활용하여 "터키석의 랩소디"라고 불릴 만한 독특한 색감을 만들어냈다.[5]
이 영화는 인기 크루너 가수 빙 크로스비의 첫 영화 출연작이기도 하다.[6] 그는 당시 폴 휘트먼 오케스트라의 보컬 트리오인 리듬 보이즈의 멤버였다. 작곡가 퍼디 그로페는 ''그랜드 캐니언 모음곡''(Grand Canyon Suite)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영화에서 일부 음악을 편곡했다.
4. 1. 주요 음악
레뷰 형식의 ''킹 오브 재즈''는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 공연을 선보이며, 모든 연령대의 관객에게 어필하고자 했다. 주요 음악은 다음과 같다.- ''랩소디 인 블루''(Rhapsody in Blue): 조지 거슈윈의 곡으로, 영화에서 화려하게 연출되었다. 특히, 당시 2색 테크니컬러 공정에서 파란색을 표현하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시도 끝에 "터키석의 랩소디"라고 불릴 만한 독특한 색감을 만들어냈다.[5]
- ''해피 피트''(Happy Feet): 젊은 관객층을 겨냥한 경쾌한 "재즈" 넘버이다. 밴드의 트롬본 연주자 윌버 홀의 보드빌 연기와 "고무 다리" 알 노먼의 기괴한 춤이 특징이다.
- ''송 오브 더 돈''(Song of the Dawn): 빨간 셔츠를 입은 목장 일꾼들이 헛간을 배경으로 부르는 곡으로, 중년층에게 어필했다. 원래 빙 크로스비가 부를 예정이었으나, 자동차 사고로 인해 존 볼스가 대신 불렀다.[7]
- ''잇 해픈드 인 몬터레이''(It Happened in Monterey): 존 볼스가 부른 왈츠곡으로, 중년층 관객을 겨냥했다.
이 외에도 ''브라이덜 베일''(Bridal Veil)과 같은 빅토리아 시대풍의 넘버는 노년층에게, ''멜팅 팟 오브 뮤직''(Melting Pot of Music)은 다양한 이민자 그룹의 노래를 통해 미국의 멜팅 포트를 표현하며, 마지막에는 모두 재즈를 즐기는 미국인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 2. 리듬 보이즈
리듬 보이즈는 폴 휘트먼 오케스트라의 보컬 트리오로, 빙 크로스비, 해리 배리스, 알 링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영화에서 ''미시시피 머드'', ''그래서 파랑새와 검은새가 함께 모였네'', ''나는 어부야'', ''공원의 벤치'', ''해피 피트''를 불렀다.[6] 리듬 보이즈는 휘트먼의 밴드 일원으로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배리스가 피아노를 연주하며 자체적으로도 녹음 활동을 했다.
빙 크로스비는 촬영 중 음주 운전으로 여성 승객을 거의 죽일 뻔한 사고를 내고, 법정에 골프 복장을 하고 나타나 판사에게 빈정거리는 등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60일 동안 수감되었다. 이 때문에 휘트먼은 "새벽의 노래"에서 그를 존 볼스로 교체했다.
5. 플롯
''킹 오브 재즈''는 레뷰 형식의 영화로, 뚜렷한 줄거리 없이 음악 공연들이 짧은 코미디 스케치와 번갈아 나타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음악 공연은 다양한 스타일로 구성되어 모든 연령대의 관객을 만족시키고자 했다. 젊은이들을 위한 "재즈"적인 ''해피 피트''(Happy Feet) 넘버, 중년층을 위한 존 볼스의 ''잇 해픈드 인 몬터레이''(It Happened in Monterey) 왈츠곡, 목장 일꾼들이 부르는 ''송 오브 더 돈''(Song of the Dawn) 등이 대표적이다. ''송 오브 더 돈''은 원래 빙 크로스비가 부를 예정이었으나, 자동차 사고로 수감되면서 존 볼스에게 돌아갔다.[7]
이 영화는 전체가 2색 테크니컬러로 촬영된 19번째 무성 영화였다.
5. 1. 주요 장면
영화 초반부에는 밴드의 명인 연주자들을 소개하고, 리듬 보이즈가 가정적인 분위기에서 공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약간 선정적인 것부터 유머러스한 것, 단순히 어리석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코믹 넘버들이 등장한다. 여성 합창단은 앉아서 안무를 하는 특징적인 모습을 선보인다.그랜드 피날레는 ''멜팅 팟 오브 뮤직''(Melting Pot of Music) 프로덕션 넘버이다. 다양한 이민자 그룹이 전통 의상을 입고 자국의 노래를 부른 후, 모두 미국의 멜팅 포트로 보내진다. 휘트먼이 스튜를 휘젓고, 요리가 끝나면 모두 재즈를 즐기는 미국인으로 변신한다.[5]
''브라이덜 베일''(Bridal Veil) 넘버는 노년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빅토리아 시대의 감성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Rhapsody in Blue)''를 화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제작되었는데, 당시 테크니컬러의 2색 공정으로는 파란색을 표현하기 어려웠다. 미술 감독 허먼 로세와 제작 감독 존 머레이 앤더슨은 회색과 은색 배경, 필터를 사용하여 옅은 파란색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제시했다.[5]
6. 평가 및 반응
《킹 오브 재즈》는 1930년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미국 내 흥행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좋은 반응을 얻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초기 뮤지컬 영화의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재평가받고 있다.
1933년 재개봉에서는 상영 시간이 65분으로 단축되었고, 1983년 비디오 카세트 출시에는 93분 버전이 사용되었다. 2016년에는 98분 분량으로 복원되었으며, 크라이테리온 컬렉션은 2018년에 이 영화를 DVD와 블루레이로 출시했다.[11] 블루레이 버전에는 영화의 4K 복원본과 함께 오리지널 영화, 두 편의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 만화, 1929년 무대 버전, 폴 휘트먼과 그의 밴드가 출연하는 1933년 단편 영화가 포함되어 있다.[11]
6. 1. 개봉 당시 반응

《킹 오브 재즈》는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일부 비평가들은 과도한 제작비, 길고 지루한 구성, 폴 화이트먼과 존 볼즈를 제외한 출연진의 미흡한 연기를 지적했다.[12] 반면 뉴욕 타임스는 화려한 영상미와 빠른 전개, 존 머레이 앤더슨 감독의 연출 능력을 호평했다.[13]
해외에서는 뮤지컬 영화에 대한 반발이 없었기 때문에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결국 수익을 냈다. 1930년대 동안 이 영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가장 좋은 관객을 찾았고, 17번의 앙코르 상영을 했다.
《킹 오브 재즈》는 아카데미상에서 헤르만 로세가 최우수 미술상을 수상했다.[14] 2016년에는 2013년에 상당한 복원 작업을 거쳐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었다.[15]
6. 2. 흥행 성적
이 영화는 미국 내에서 기대만큼 흥행하지 못했다. 1930년 4월 19일 로스앤젤레스의 크리테리온 극장에서 개봉했지만, 첫 2주 동안의 흥행 수입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1] 1930년 5월 2일 뉴욕시 록시 극장에서 열린 성대한 초연에서는 조지 거슈윈과 125인조 록시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폴 휘트먼 오케스트라가 무대 쇼를 선보였다. 이들은 ''랩소디 인 블루''를 연주하고, 밀드레드 베일리가 록시 합창단의 지원을 받아 하루에 다섯 번씩 공연했지만,[9][10] 영화는 록시 극장에서 단 일주일만 더 상영되었다.이러한 저조한 흥행의 원인으로는 1929년 10월 주식 시장 붕괴의 여파로 인한 대공황의 시작과, 1927년 말 ''재즈 싱어'' 이후 1929년 초 ''브로드웨이 멜로디''의 성공으로 급증했던 영화 뮤지컬에 대한 대중의 싫증이 꼽힌다. 특히, "킹 오브 재즈"와 같이 줄거리가 없는 '리뷰' 형식의 영화는 더욱 외면받았다. 전국 개봉 기간 동안 "킹 오브 재즈"는 90만 달러도 벌어들이지 못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뮤지컬 영화에 대한 거부감이 덜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는 17번이나 앙코르 상영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The New Movie"의 평론가는 이 영화를 과도하게 제작된 호화로운 "실망스러운" 영화라고 혹평했지만,[12] 뉴욕 타임스는 "카메라 마법, 즐거운 색상 구성, 매력적인 의상, 매혹적인 조명 효과의 경이로운 작품"이라고 칭찬했다.[13]
6. 3. 수상 경력
헤르만 로세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상 최우수 미술상을 수상했다.[14] 이 부문에서 다른 후보작은 "불독 드럼몬드", "러브 퍼레이드", "샐리", "방랑 왕"이었다.6. 4. 현대적 평가
2013년, 미국 의회 도서관은 이 영화를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했다.[15] 현대에는 '킹 오브 재즈'가 초기 뮤지컬 영화의 중요한 사례이자, 1930년대 미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7. 다국어 버전
이 영화는 최소 9개의 다국어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스웨덴어 버전은 적어도 일부 다른 음악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애니메이션
이 영화는 월터 란츠와 빌 놀런이 제작한 초기 테크니컬러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포함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8. 1. 월터 란츠의 참여
이 영화에는 애니메이터 월터 란츠(훗날 우디 우드페커 등 다른 캐릭터로 유명해짐)와 빌 놀런이 제작한 최초의 테크니컬러 애니메이션 시퀀스가 포함되어 있다.[1] 이 만화에서 화이트먼은 "가장 어두운 아프리카"에서 사냥을 하는데, 바이올린으로 곡을 연주하여 (조 베누티와 에디 랭이 연주한 ''음악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 달래는 사자에게 쫓긴다.[1] 코끼리가 나무에 있는 원숭이에게 물을 뿜자 원숭이는 코코넛을 코끼리에게 던진다.[1] 코코넛은 빗나가 화이트먼의 머리를 맞힌다.[1] 머리에 생긴 혹이 왕관 모양으로 변한다.[1] 사회자 찰스 어윈은 "그렇게 폴 화이트먼은 재즈의 왕으로 즉위했습니다."라고 말한다.[1]이 만화에 짧게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는 란츠가 이끄는 유니버설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부서의 스타인 행운의 오스왈드 토끼이다.[1] 오스왈드를 특징으로 하는 흑백 사운드 만화인 My Pal Paul은 1930년 유니버설에서 개봉되었으며, 영화의 노래와 폴 화이트먼 캐릭터를 포함하여 킹 오브 재즈를 홍보했다.[1]
애니메이션 시퀀스의 일부 장면은 나중에 월터 란츠의 오스왈드 만화인 ''아프리카''에 재사용되었다.[1]
8. 2. 애니메이션 줄거리
이 영화는 월터 란츠(나중에 우디 우드페커와 다른 캐릭터로 유명해짐)와 빌 놀런에 의해 제작된 최초의 테크니컬러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포함한다. 이 만화에서 화이트먼은 "가장 어두운 아프리카"에서 사냥을 하는데, 조 베누티와 에디 랭이 연주한 ''음악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를 바이올린으로 연주하여 사자를 달랜다. 코끼리가 나무에 있는 원숭이에게 물을 뿜자 원숭이는 코코넛을 코끼리에게 던진다. 코코넛은 빗나가 화이트먼의 머리를 맞히고, 머리에 생긴 혹이 왕관 모양으로 변한다. 사회자 찰스 어윈은 "그렇게 폴 화이트먼은 재즈의 왕으로 즉위했습니다."라고 말한다.이 만화에는 행운의 오스왈드 토끼가 짧게 등장하는데, 란츠가 이끄는 유니버설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부서의 스타였다. 1930년 유니버설에서 개봉된 흑백 사운드 만화인 My Pal Paul은 오스왈드를 특징으로 하며, 영화의 노래와 폴 화이트먼 캐릭터를 포함하여 킹 오브 재즈를 홍보했다.
애니메이션 시퀀스의 일부 장면은 나중에 월터 란츠의 오스왈드 만화인 ''아프리카''에 재사용되었다.
참조
[1]
뉴스
Whiteman Film Due Tomorrow
Los Angeles Times
1930-04-18
[2]
간행물
Inside Stuff - Pictures
https://archive.org/[...]
1930-05-14
[3]
뉴스
Library of Congress announces 2013 National Film Registry selections
https://www.washingt[...]
2013-12-18
[4]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2020-05-04
[5]
서적
History of Color Photography
The American Photographic Publishing Company
1945
[6]
서적
Hollywood Musicals Year by Year
Hal Leonard Corporation
1999
[7]
서적
A Pocketful of Dream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2001
[8]
웹사이트
Aberdeen Washington
http://www.destinati[...]
[9]
뉴스
Picture Plays and Players
New York Sun
1930-05-02
[10]
뉴스
The Screen
New York Times
1930-05-03
[11]
웹사이트
King of Jazz (1930)
http://undertheradar[...]
2018-03-16
[12]
학술지
All You Want to Know About the New Pictures
https://archive.org/[...]
Tower Magazines, Inc.
1930-07
[13]
뉴스
The Screen: A Sparkling Extravaganza.
https://www.nytimes.[...]
1930-05-03
[14]
웹사이트
NY Times: King of Jazz
https://movies.nytim[...]
2012-06-20
[15]
뉴스
'King of Jazz' Is Back, Burnished for Movie Fans
https://www.nytimes.[...]
2016-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